NOTICE
NEWS
[견문록] 베트남의 부동산 (10) ) _ 중부도시(다낭)의 부동산 시장 재부상

1. 베트남, 중부지역(다낭)의 부동산 시장 재부상 조짐 _ (Vietnam Investment Review / 승인 2020.05.27.)
베트남 중부지역의 대표도시 다낭시의 부동산 시장은 몇몇 프로젝들의 개발부지가 시장으로 등장하고, 상업프로젝트, 고가의 아파트 및 빌라 상품들이 Secondary market에서 거래가 이루어 지기 시작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많은 매수자들이 Son Tra Ocean View를 보고 갔으며, Solei Anh Duong, Hoa Binh Green, Monarchy 프로젝트들도 여러 소셜네트워크사이트와 주택거래 채널에서 소개되고 있다고 밝혔다. 중부지역 부동산거래 전문가(Le Tuan Hung)에 따르면, FPT 플라자 다낭의 아파트 단지 건설공사가 현재 한찬 진행중인데, 수요자들의 반응이 좋다는 현지 브로커들로부터 의견을 듣고 있다고 하였다. 건설중인 이 아파트가 인기가 좋은 것은 적당한 사이즈(45sqm -82sqm)와 함께 합리적인 가격 vnd900million(usd39,130)에서 vnd1.5billion(usd65,220)에서 찾을 수 있다고 밝혔다. 베트남 부동산브로커협회 부회장(Nguyen Van Dinh)에 따르면, 적당한 주택 평형과 합리적인 가격 등 고객 취향에 맞추면 부동산 시장이 재개될 수 있는 조짐이 보인다고 언급했다.

( Hyatt Regency Danang Resort & spa / https://www.hyatt.com/ko-KR/hotel/vietnam/hyatt-regency-danang-resort-and-spa/danhr/dining )
2. 베트남, 1분기 주택시장 거래 감소에도 가격 소폭 상승 _ (Vinahanin.com / 승인 2020.05.13.)
베트남 건설부가 발표 한 하노이시와 호치민시 2020 년 1 - 3월기 주택 시장 보고서에 따르면, 동기는 COVID-19의 영향으로 거래량이 큰 폭으로 떨어져 공급 수 감소로 인해 판매 가격은 소폭 상승했다. 양 도시 동기의 주택 거래 건수는 전년 말에 비해 각각 62%, 45% 감소했다. 한편, 아파트와 상업용(지어서 판매) 주택 가격은 상승했다. 하노이 시내의 아파트 가격은 전년 동기 대비 1.02% 상승, 그 중 중산층 소득자를 위한 아파트가 동 1.57%, 저소득층이 동 2.51% 상승했다. 호치민시에서의 아파트 가격은 3.5% 상승, 특히 저소득층 아파트가 동 3.78%로 가장 크게 상승했다. 상업용 주택 시장은 하노이 시에서 가격이 3.82%, 호치민 시는 8.36% 상승했다. 전문가에 따르면, 토지가 한정되어 토지 구입이 어려워지고 있는 것을 배경으로, 투자자가 높은 가격에 판매할 수 있도록 인프라 정비나 서비스의 질 향상에 주력 하는 경향이라고 밝혔다.

( Modern Vertical Home Adapted to a Tropical Environment in Nha Trang
https://homeworlddesign.com/modern-vertical-home-maximizes-light-space-nha-trang-vietnam/)
3. 5월 베트남 주식시장, 아시아 최고
베트남증시가 코로나19 팬데믹에서 벗어나며 5월 아시아 최고의 주식시장에 등극했다고 미국 경제전문매체 블룸버그가 보도했다. 28일 블룸버그에 따르면 외국인투자자들이 위험자산에서 자금을 회수하는 사이 국내 투자자들의 매수세가 어어지며, 5월 베트남증시 대표지수인 호치민증시(HoSE)의 VN지수(VN-Index)는 13% 상승했고 환율은 3월 최저치를 기록한 뒤 1% 상승했다. 조슈아 크랩(Joshua Crabb) 로베코자산운용(Robeco) 홍콩지점 투자책임자는 “우리는 베트남 증시에 투자했고 유망한 주식을 찾기위해 노력하고 있다”며 “베트남 증시는 중기적으로 유망해보인다"고 말했다. 블룸버그는 “베트남이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해외 보건전문가들의 지원을 받아 감염 의심자 20만명 이상을 추적해 조사하는 등 과감한 대응으로 성공적인 방역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했다. 국제통화기금(IMF)은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으며 아시아 전역이 침체됐지만 베트남은 코로나19 영향을 최소화해 올해 아시아에서 가장 빠른 속도로 경제를 회복할 나라로 꼽았다. 베트남은 2003년 사스(SARS) 발병 때에도 감염자 치료에 가장 빠른 속도를 보여 성공적인 대응체계를 갖췄다고 국제적으로 평가받기도 했다. 2018년 이후 베트남증시는 글로벌 벤치마크지수 제공업체인 FTSE인터내셔널의 FTSE러셀(FTSE Russell) 프런티어마켓에서 2차신흥시장(emerging market) 편입대상으로 평가받았다. 모건스탠리캐피털인터내셔널(Morgan Stanley Capital International, MSCI)은 베트남증시의 2차 신흥시장지수 편입을 앞두고 추세를 면밀히 살피고 있다. 블룸버그는 “베트남증시에 있어 유동성 부족은 외국인투자자에게 가장 큰 걸림돌”이라며 “시장규제기관은 이를 해결하기 위해 주식발행을 늘리고 파생상품을 출시했으며 지난해에는 증시 보증 방안을 내놓기도 했다”고 보도했다.
베트남 정부는 하노이증권거래소(HNX)와 호치민증권거래소(HoSE) 2곳의 증권거래소를 통합할 방침이다. IMF가 각국 정부의 통화가치 개입을 제한해 시장유연성을 확보할 것을 권장하고 있는 가운데, 베트남 동화(VND)는 2008년 이후 지난달까지 1.4% 상승하며 달러대비 안정세를 유지하고 있다. 베트남 정부는 지난해 GDP의 20%에 달했던 채권시장 규모를 2030년께 45%까지 늘리고, 회사채시장 규모를 GDP의 11%에서 20%까지 확대한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아시아개발은행(ADB)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와 중앙은행(SBV)이 3월기준 부채자산의 90%를 보유하고 있으며, 기관 관계자들은 2021년까지 베트남 국채가 국제지수에 편입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출처 : 인사이드비나(http://www.insidevina.com) / https://vietnamnet.vn/en/feature/10-important-hallmarks-of-vietnam-s-stock-market-in- 2019-604234.html)
4. 세계은행, 베트남 2045년까지 고소득 경제가 되기 위해서는 생산성 주도 개발 모델 주력해야 _ (Vietnam News / 승인 2020.05.28.)
세계은행은 베트남이 2045년까지 고소득 경제가 되기 위해서는 생산성 주도 개발모델에 주력해야 한다고 발표했다. 부자 국가가 되기 위해서는 공공과 민간, 인간과 자연 자본의 균형 있는 개발과 혁신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2021-25년의 기간 동안 사회경제개발을 질적인 성장을 지향하고 있는데, 더욱 동적인 기업, 더욱 효율적인 인프라스트럭처, 기술, 더욱 그린 경제로 향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세계은행의 베트남 소장은, “베트남이 오늘날 가장 개발 성공 국가 중의 하나 이지만 재래적인 성장 주도력이 점차 쇠퇴하고 있는 터닝포인트에 놓여 있다”고 밝혔다. 2045년까지 고소득 경제가 되기 위해서는 생산성이 베트남 경제의 전면이나 중심에 놓여 있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한, 동적인 기업들은 기업 친화적인 정책, 자금조달의 용이, 투명한 제도 속에서 탄생될 수 있다는 점을 강조 했다.

(https://hanoitimes.vn/vietnam-economy-will-face-unprecedented-challenges-from-coronavirus-outbreak-moodys-311598.html)
5. 베트남, 국가은행 정책 금리 0.5% 인하 _ (Vinahanin.com / 승인 2020.05.14.)
베트남 국가은행(SBV 중앙은행)은 2020년 5월 12 일, 주요 정책 금리인 리파이낸스(재융자) 금리를 0.5 % 인하 해 4.5 %로 하기로 결정했다. 이는 2020년 5월 13일부터 실시하기로 했다. 베트남 중앙은행은 2020년 3월에 이어 추가 금융 완화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에 영향을 받는 국내 경제의 버팀목이 되고자 함이라고 밝혔다. 할인율은 3.5 %에서 3.0 %로 인하하여, 단기 동(VND)의 대출 상한 금리는 5.0 % (현재 5.5 %)로 하기로 했다. 베트남은 금리 인하를 통해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의 유행에 따른 어려운 경영을 강요 당하고 있는 국내 기업이 필요한 자금을 빌리기 쉬운 금융 환경으로 한다고 발표했다. 또한, 동 예금의 상한 금리는 기간 1개월 미만이 0.2 % (현재 0.5 %), 1 개월 이상 6 개월 미만이 4.25 % (동 4.75 %)가 된다고 밝혔다.

(https://vietnamnet.vn/en/business/what-benefits-can-vietnam-s-economy-expect-from-an-interest-rate-cut-625878.html)
6. 베트남, 동화 가치 약세 지속 전망 _ (Vietnam-Korea Times / 승인 2020.05.12.)
베트남의 동화가치가 COVID-19 영향에 따른 외국인 직접투자 감소, 그리고 중앙은행이 수출경쟁력 강화를 위해 동화 약세를 선호함에 따라 단기적으로 동화의 약세는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피치솔루션은 베트남 동화의 가치가 2020년 1USD당 평균 2만3,475VND, 2021년 2만3,650VND으로 현재의 2만3,309VND에서 지속적으로 약화될 것으로 예상했다. 피치솔루션은 "우리는 동화가 미국 달러화에 대해 과대평가되고 베트남의 인플레이션 영향으로 장기적으로 점진적 평가절하 될 것이라는 견해를 견지하고 있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2020년 코로나19 사태로 인해 FDI 유입이 급격히 둔화될 것이며 이는 동화 약세의 요인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지난해 총 등록투자자본은 380억USD로 2018년 355억 USD 대비 7% 증가했다. 2019년 FDI 유입은 미·중 무역전쟁이 한창인 가운데 제조업 입지 다변화를 모색하는 기업들의 탈중국에 따른 공급망 이전 영향으로 증가한 바 있다.
피치솔루션은 "베트남이 글로벌 공급망에서 저비용 제조업 중심지로 자리매김하면서 수출과 FDI 유입은 글로벌 경제 수요의 변화에 크게 취약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들은 현재, COVID-19의 여파로 세계 경제가 침체 상태에 있는 점을 감안할 때 수요는 이전과 비교할 때 크게 위축될 것으로 전망했다. 불확실한 경제 환경 속에서 기업들이 현금 보유를 선호함에 따라 기업 투자는 감소할 전망이다 라고 밝혔다. 더욱이, 베트남의 경우 FDI는 이해관계자들의 현장 실사 후에 이루어지는 경향이 뚜렷하고, 최근과 같은 여행 및 이동 제한은 의사결정 과정과 FDI 유입을 지연시킬 수 밖에 없다고 밝혔다.
피치는 "우리는 또한 베트남중앙은행이 수출을 지원하기 위해 동화 약세를 더욱 선호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밝혔다. 베트남은 수출이 GDP의 95%를 차지하고 있는 점을 감안하면 이동 제한이 점차 해제된 후 세계적인 수요와 함께 수출은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고 밝혔다. 생산 관점에서, 피치는 통화 약세가 공급망 붕괴와 수요 전망 약화로 인해 타격을 받고 있는 베트남의 대형 제조업 부문을 주로 지원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반면, 베트남이 2020년 1월 보고서에서 미국 재무부의 환율조작국 감시대상국으로 유지된 만큼 미국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통화 약세가 완화될 가능성도 있다고 밝혔다. 피치는 베트남의 2월 외환보유액이 800억USD 수준으로, 3.8개월분의 수입액에 해당할 것으로 예상하며 중앙은행이 통화 가치 하락의 속도를 감내하기 충분할 것으로 평가하고 있다. 한편, 피치는 베트남의 물가상승률을 2020년 평균 3.8%, 2021년 평균 4.2%로 전망했다.

(https://moderndiplomacy.eu/2020/05/29/vietnams-development-strategy-for-next-decade-must-put-productivity-growth-front-and-center/)
7. 베트남, 산업생산지수 (IIP) 2016년 이후 최저 _ (Vietnam-Korea Times / 승인 2020.05.12.)
베트남 통계총국(GSO)에 따르면 베트남의 산업생산지수(IIP)는 2020년 4월까지 1.8% 소폭 상승에 그치며 최근 수년간 최저치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2020년 4월 산업생산지수(IIP)는 전월 대비 13.3%, 전년 동기 대비 10.5% 급락했다. 통계총국 은 2016년 이후 처음으로 4월에 IIP가 감소한 것이라고 밝혔다. 베트남 국내 산업생산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가공제조업 부문은 4개월 동안 10.5%의 가장 심한 IIP 감소율을 기록했다. 광업 부문은 IIP가 10.7% 감소했고, 전기 생산과 분배는 7% 감소했다. 한편, 상수도 및 폐기물 처리 부문의 IIP는 전년 대비 1.8% 증가했다. 통계총국에 따르면 전 세계 COVID-19 여파로 인해 생산용 수입 원료가 부족해 산업생산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밝혔다.
2020년 1~4월 IIP 증가율 하락을 기록한 업종으로는 자동차(-24%), 오토바이(-17%), 맥주(-24%), 음료(-14%), 목재 가공 및 목재 제품(-9%) 등이다. 산업생산이 증가한 부문은 제약(26%)이었고, 금속 광석(16.5%), 전자, 컴퓨터, 광학 제품(10%) 순이었다. 한편, 통계총국은 2020년 4월 1일까지 COVID-19의 영향으로 인한 인력 감축으로 산업체 노동자의 수가 전년 동기 대비 1.6% 감소했다고 말했다. 통계총국장에 따르면, 베트남 정부가 COVID-19의 심각한 영향을 받는 기업에 대해 대체 공급처를 찾고 관세 인하와 내수를 진작하는 등의 지원책 제시를 제안했다고 밝혔다. 해당 기업들은 공업제품의 제조, 수출, 수입, 특히 섬유, 가죽, 전자, 자동차, 철강, 식품 및 식품 가공업을 영위하고 있는 기업들이다. 그는 또한 국내 생산을 안정시키기 위해 GSO가 정부에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고 통화 시장뿐만 아니라 거시 경제의 안정성을 유지하기 위한 거시 경제 정책 관리도 제안했다고 밝혔다. 베트남 정부는 수출입 기업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주요 수출 상품, 주요 수출 시장, 생산용 자재 수입 등 수출입에 관련 이슈를 주목하고 있다.

(삼성전자, 베트남 생산 확대 / https://www.retailnews.asia/samsung-electronics-to-expand-production-in-vietnam/)
8. 베트남, 한국인 신규 노동허가 제한적 재개 _ (Yonhapnews / 승인 2020.05.13.)
베트남의 상당수 지방성과 도시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방역을 위해 잠정 중단했던 한국인에 대한 신규 노동허가를 제한적으로 다시 내주는 것으로 알려졌다. 5월 15일 현지 소식통과 베트남 주재 한국대사관에 따르면 삼성전자 스마트폰 공장이 있는 박닌성 등 상당수 지방성과 대도시에서 한국인에 대한 신규 노동허가를 다시 내주고 있다고 밝혔다. 3개월짜리 상용비자 등으로 입국해 현지에 체류 중인 한국인 가운데 주베트남 한국대사관을 통해 신청한 사람에 한해 신규 노동허가서를 발급하고 있다는 것이다. 지난 3∼4월 일부 지역에서만 이 같은 방식으로 한국인에 대한 신규 노동허가를 내줬으나 이달 들어 대상 지역이 본격적으로 확대되고 있다.
박노완 주베트남 대사와 정우진 총영사, 이재국 노무관 등 대사관 직원들이 각 지방성과 대도시를 일일이 찾아다니며 당국을 적극적으로 설득한 덕분인 것으로 알려졌다. 특히 삼성, LG 계열사에 이어 최근 우리나라 중소·중견기업 직원들이 상용비자를 받아 베트남에 대거 예외 입국하고 있어 신규 노동허가 발급이 상당히 늘어날 전망이다. 베트남에서는 지난 2월 25일 호찌민 시가 대구·경북 출신 한국인에 대한 신규 노동허가서 발급을 중단한 것을 시작으로 제한을 강화했다. 또 3월 3일에는 응우옌 쑤언 푹 총리가 노동사회보훈부에 COVID-19 발생지역에서 오는 외국인에 대한 노동허가를 잠정 중단하라고 지시했다.

(https://www.expat.com/en/events/asia/vietnam/hanoi/8-fairs-and-conferences/25187-hanoi--insights-into-employment-in-vietnam.html)
9. 베트남 호치민 시, 인터넷 쇼핑 금액 매년 12% 이상 성장 _ (Vinahanin.com / 승인 2020.05.14.)
베트남 호치민시에서 인터넷 쇼핑몰 시장이 크게 성장하고 있으며, 인터넷으로 쇼핑하는 금액은 2015년 이후 매년 12 % 이상의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고 밝혔다. 시 상공국이 정리한 전자 상거래의 발전에 관한 리포트에서 이런 결과가 나타났다고 2020년 5월 12 일자 베트남 뉴스지가 전했다. 베트남 호치민 시 상공국 국장은 시내의 기업들은 디지털로의 전환에 주력, 인터넷 판매를 적극 추진해 왔다고 설명하며 인터넷 쇼핑몰 전문 사이트는 기업들에 중요한 판매 채널이 되었다고 한다. 리포트에 따르면 시내 기업의 약 5 %가 tiki, sendo 등의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에서 자사 제품을 판매, 전년에 비해 0.4 %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9년 호치민 시민이 인터넷에서 쇼핑한 금액은 가구당 평균 562만 동(약 241 달러)으로 전년 대비 13.2 % 증가했다고 밝혔다. 2019 년에 일반 웹 사이트를 통해 구매 한 사람의 비율은 15 % 감소하고, 인터넷 판매 이용자 전체의 21 %에 그쳤다. 앱을 통한 쇼핑도 감소하고, 전체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24.2 %였다고 밝혔다. 한편, 페이스 북 등의 인터넷 교류 사이트 (SNS)와 인터넷 쇼핑몰 사이트에서의 쇼핑은 계속 증가했다고 밝혔다. 텔레비전 통판 프로그램을 이용하는 사람보다 유튜브와 페이스 북의 서비스를 통해 쇼핑하는 사람이훨씬 많았다고 밝혔다.

작성자 : 한림건축그룹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