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NEWS
[프로젝트 해외] 캄보디아 프놈펜 핫플레이스 범캥꿍 부동산시장 진출 _ GLKO TOWER
작성자
한림건축그룹
작성일
2020-04-13 15:12
조회
1083

[한림건축그룹, 캄보디아 프놈펜 핫플레이스 범캥꿍 부동산시장 진출]
2020.04.13
1. 건설 개발에 따른 캄보디아 부동산 시장 급부상
캄보디아는 2010년부터 꾸준히 7%대 경제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특히 2011년 이후 본격적인 석유생산 기대, 높은 출산율과 전체인구의 70%에 달하는 20대 이하의 젊은 노동력 풍부, 외국인투자(FDI) 및 외국지원(ODA) 활발 등을 배경으로 고성장세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특히 건설부문은 왕국의 중요 경제 성장 엔진 중의 하나이며 국가 경제의 핵심 요소다. 주택, 아파트, 상가, 오피스빌딩 등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개발이 점차 활발해지고 있으며, 경제개발을 지속하기 위한 도로, 철도, 항만, 전력, 공단 등 인프라 건설 수요로 확대되고 있다. 특히 신흥부유층 등장에 따른 주택수요 증가, 외국인투자 증가에 따른 오피스빌딩 수요 증가, 관광객 유입 급증에 따른 관광인프라 부족, 중장기적인 국토개발계획(2020년까지 프놈펜개발과 신도시 개발, 시엠립, 시아누크빌, 꼬꽁 등의 개발) 등으로 건설 시장이 점점 확대되고 있다.크메르타임즈에 따르면 “세계 은행 캄보디아의 수석 경제학자 리 소데스 (Ly Sodeth)는 2019년 총 9 개월 이내에 철강 수입량이 지난해 같은 기간에 비해 63.5 % 증가했다. 2018 년과 2017 년 사이에 27.7 % 증가한 이래 강력한 성장을 보여준다. 철강은 건설 부문의 핵심 소재이며 현지에서 철강을 생산하지 않는다. 철강 수입이 크게 증가하면 건설 부문의 성과를 반영 할 수 있다.(중략)
건축.V Trust Appraisal의 리서치 책임자 Hem Seiha는 지난 10 년 동안 지역 구매자의 주택 수요 증가로 인해 건설 부문에 대한 투자 가치가 크게 증가하고 있다. 결혼과 중산층 인구. 또한 사무 공간, 서비스 아파트, 콘도미니엄 및 상업용 건물에 대한 수요가 증가함에 따라 건축 자재에 대한 수요도 증가했다. 철강 및 건설 장비 수입 증가는 건설 부문의 건전한 성장을 입증하는 해마다 꾸준한 성장을 보여준다“는 것이다.
(출처; https://www.khmertimeskh.com/651253/cambodias-construction-sector-remains-strong. 2019.11.04)

캄보디아 경제 성장률, National Institute of Statistics of CAMBODIA, 2019
캄보디아의 건설 및 부동산개발은 전체 GDP의 9~10%에 육박할 것으로 추정된다. 특히 건설업은 1990년대 초반에 이어 2002년 이후 적극적인 경제개발정책과 외국인투자 유치에 힘입어 연평균 20%대 성장률을 보이고 있다. “건설 및 부동산 시장이 팽창하게 된 배경으로는 정치·사회적인 안정에 의한 고도경제 성장 가능, 높은 대외 개방성과 저평가된 토지가격 등으로 한국을 비롯한 중국·홍콩 등의 투자자들이 전매 차익을 목표로 많이 진출했다는 점, 양도소득세 등 부동산 관련 세금이 적다는 점, 자원개발 추진으로 중장기적인 수요 증대 가능성이 높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대한무역투자진흥공사. 2008) 또한 캄보디아는 달러 사용률이 98%이고 젊은 층의 저축률이 높고 환 리스크가 적다는 점으로 한국계 금융회사 15개 KB국민, 신한, 우리, IBK기업, NH농협, 전북은행 등이 진출해 있다.
자료: ADB(August, 2008)
2. 최고 외국인 선호 지역 범캥꿍 지역에 우뚝선 한림건축 GL KO TOWER
종합부동산서비스기업 한림건축그룹은 지난 2017년 4월 캄보디아 건축설계 법인 (주)HBA를 설립했다. 박진순회장은 동남아시아 부동산 시장의 개발과 발전 가능성에 눈을 돌려 프놈펜 소재 건축설계 대표 BUN DEANG과 합작회사를 경영하게 되었다. (주)HBA 캄보디아 대표 분생은 프놈펜에 학교, 아파트, 쇼핑몰, 레지던스 오피스를 설계한 건축가로 캄보디아 국가전략개발계획에 맞춰 프놈펜의 도시화에 심혈을 기울이고 있다. 한림건축그룹은 2018년 외국인이 가장 선호하는 프놈펜의 범캥꿍(Beoung Keng Kang) 지역에 지하3층 지상 22층 총 면적 9,166.45㎡ 업무시설 설계를 맡았다. 박진순회장에 따르면 “2018년 당시 건축주와의 고민은 설계에 앞서 건축물의 용도, 즉 아파트와 오피스 선택에 대한 적지 않은 고민이 있었다. 결국 오피스 선택이 옳았다. 프놈펜은 외국 기업들이 선호하는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사무실이 부족하다는 시장조사가 결정적 관건이 되었다”고 한다. 현지 법인을 통해 4월 현재 “내·외부 특화된 설계로 이미 35개 회사가 입점 의향이 있다”고 한다. GL KO 타워의 특징은 외부 디자인 특화 그리고 내부 시설의 고급화로 외국계 회사들이 오피스로 사용하기에 적합하도록 디자인되었다. 특히 옥상에 Sky Bar를 설치하여 외국 관광객들이 찾는 명소가 되도록 차별화를 두었다.총 2여년에 걸친 공사는 우기와 인력난으로 고생하였고, 범깽꿍은 매립지여서 지하 지질이 좋지 않아 기초 공사에 공기가 연장되고 공사비용 또한 증대되었다. 또한 캄보디아는 실제로 차량이 적어 주차장 확보에 대한 필요성을 느끼지 못했다. 그러나 앞으로 프놈펜의 도시화가 가속화되었을 경우를 미리 대비하는 차원에서 캄보디아 최초로 한국 기계식 주차 시설로 50대를 확보했고, 대형 SUV도 주차 가능하도록 설계되었다.

GL KO TOWER 투시도, 2018 / 이미지제공: ©한림건축그룹

GL KO TOWER 매립형 에어컨 도면, 2018 / 이미지제공: ©한림건축그룹
*우리에게는 익숙하나 캄보디아에선 낯선 매립형 에어컨 설계디자인 특화

GL KO TOWER 주차장 입면도, 2018 / 이미지제공: ©한림건축그룹
*캄보디아 최초로 한국 기계식 주차 시설 설계 특화된 주차장

GL KO TOWER 임대 광고, 2020.04
(참고) 캄보디아 건설 및 부동산개발 전략소사
▶ 1994캄보디아개발위원회설립 Council for the Development of CAMBODIA(CDC)
외국인투자법 제정
▶ 2001
국가정보통신개발국(NIDA) 설립: 한국의 정보화 경험 벤치마킹
▶ 2002
토지법 발표: 소유권 인정 조항 신설(헌법 제 44조)
▶ 2004
WTO 가입
캄보디아국민당CPP 집권
제3기 연합정부 발족
사각전략 발표: 성장, 고용, 형평, 효율
▶ 2005
기업법 제정 : 합작, 유한책임회사, 외국기업 규정
캄보디아개발위원회 특별경제구역 설치 : SEZ Special Economic Zone(22 Zone)
▶ 2006
국가전략개발계획 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2006-2010
1. 연간 6~7% 경제성장 지속
2. 인적자원 확보 / 인구정책 실시
3. 부의 공정한 분배 / 부정부패 척결 / 전부개혁 추진
4. 최저 생계선 미만 인구비중 축소(36%→25%)
▶ 2009
국가전략개발계획 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2009-2013
▶ 2014
국가전략개발계획 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2014-2018
▶ 2016
프놈펜 그린 시티 전략 기획 2017-2026
배수와 하수도 마스터 플랜 2035
도시 수송 마스터 플랜 2035
▶ 2018
제6기 연합정부 발족
사각전략(2019-2023): 도로, 물, 전기, 사람
국가전략개발계획 National Strategic Development Plan 2019-2023
기사제공 : (주)한림건축그룹